티스토리 뷰
solidity로 개발하기 위해서 대부분이 Remix IDE를 추천하였다.
웹 IDE에서 소스 관리가 될까 하는 의문이 있었지만, 두 가지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다. (더 있을 수 있다..!)
Remix에서 소스 관리를 위한 두 가지 방법
- Remixd 사용(로컬 파일 시스템을 remix ide에 링크시켜주기 위한 툴.) + Git
- gitHub gist 사용 (문서 단위의 버전 관리, 테스트 코드 버전 관리로는 유용함)
이 중에서 Remixd 사용방법을 정리 하였다.
<Remixd 사용 방법>
관련 정보 (https://github.com/ethereum/remixd)
선행 사항
- npm 패키지 관리자 (node.js를 설치하면 함께 설치 됨) (https://nodejs.org/en/download/)
- Remixd 설치 (np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설치)
- Git Client ( SourceTree, GitHub Desktop 등 여러가지 중 한 가지 선택 )
1. Remixd 설치 및 세팅
- 터미널에서 $npm install -g remixd 을 입력
- 사용자 디렉토리 밑에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 생성(여기서는 project라는 이름으로 지정) ex) $mkdir ~/project
- 루트 디렉토리 아래 소스 디렉토리 생성(여기서는 src라는 이름으로 지정) ex) $mkdir ~/project/src
- Remixd 서비스 실행 $remixd -s ~/project/ --remix-ide https://remix.ethereum.org
2. Remix IDE에서 로컬 시스템 파일 연결
- Remix 실행 (https://remix.ethereum.org/)
- Remix IDE 대시보드에서 File - Connect to Localhost 클릭
- 로컬 호스트의 파일 시스템과 상호작용을 하겠냐는 메세지 창에서 Connect 클릭
- Rimix 왼쪽 파일 탐색기에 localhost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패키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
- src에서 파일 생성 후 작업 (변경되는 소스 파일, 디렉토리들은 일정 시간마다 로컬 파일 시스템에 반영이 된다.)
3. Git으로 형상관리
- 해당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형상관리를 한다. 이 부분은 이미 Remix사용자라면 알고 있을것이라 생각한다.
반응형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록체인 - 이더리움의 이해 (0) | 2020.02.11 |
---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TextInput 한글
- proguard
- zip
- Gif
- local
- F
- uicollecionview
- multidex
- cocoapods
- idea command
- HTML
- mac command
- Podfile
- jpeg
- WKwebview
- Monterey
- idea
- png
- DEX
- multiple commands produce
- ReactNative 한글
- env: python
- 프로가드
- 12.5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